조기와 굴비, 민어과 생선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기와 굴비, 특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굴비 중 하나인 영광굴비와 보리굴비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하지만 이 이름들은 한가지 생선으로 만들어 진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이 상품들은 어떻게 다른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는지, 그 가공법과 맛의 차이점들을 알아보고 향후 상품을 고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


명품 영광 법성포 굴비 실속, 20미 국내산 산지직송 참조기 설 추석 명절 영광굴비 선물세트, 1. 명품 법성포 영광굴비 20미 1.4kg

영광 법성포 굴비, 20미 국내산 참조기 선물세트, 1.4kgPrice: 39,000원

 

조기란?

우리나라에서 명태, 고등어와 함께 가장 친숙한 생선 중 하나입니다, 요즘은 고급 생선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과거에는 고등어나 꽁치처럼 흔하게 잡히는 어종이었습니다.
조기는 한자로 助氣 라고 쓰는데 이는 기운을 돕는다 는 뜻으로 그 의미에 따라 우리나라의 명절이나 잔치상, 제사상에는 꼭 올라가는 생선이 되고 있으며, 또한  노인들의 기운을 돕는 영양식으로도 많이 애용하고 있는  음식입니다.
조기는 한국, 일본, 중국 뿐 아니라 세계 여러 연안에서 서식하고 있는데 종류도 150여 가지나 되며 , 우리나라에서 많이 잡히고 즐겨 먹는 종류는 참조기라고 명명합니다.
참고로 참조기의 새끼는 황석어라고 하는데 작아서 그냥 섭취하기 보다는 젓갈로 담아 황세기젖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보급되고 있습니다

 

굴비란?

굴비란 참조기를 소금에 절여 말린 음식을 굴비라고 합니다.  이름 또한 그 내력이 있습니다. 굴비의 한자어는  屈非 라고 하는데 이는 뜻을 굽히지 않는다 라는 뜻입니다.
고려시대 이자겸은 이자겸의 난을 일으켰다가 실패하여 정주(현재 법성포)로 귀양을 가게 되었습니다. 거기서 해풍에 말린 조기를 먹게 되었는데 그 맛에 반한 이후 당시 임금인 인조에게 진상을 하면서 정주굴비 (屈非) 라는 이름을 붙여 귀양지에서도 자신을 뜻을 굽히지 않겠다는 뜻을 대신 전하게 되면서 이후 이 식품의 이름이 굴비로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영광굴비

그럼 이제 영광굴비란 무엇인지 감이 오시겠지요?   전라남도 영광군의 대표적인 특산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지역의 말리는 방법과 조금 달라서 영광굴비경우는 섶간이라는 간수가 완전히 빠진 천일염으로 조기를 3일간 켜켜이 재어놓은 후 물이 빠지면 염도가 엷은 깨끗한 염수에 4~5회 이상 세척한 후 열마리를 한 두름으로 엮어 걸대에 걸어 7~14일간 해풍에 건조시키는 방식입니다


[산지직송] 영광 법성포 가정용 참조기 굴비 20미

영광 법성포 가정용 참조기 굴비 20미Price: 91,100원

 

보리굴비는 또 뭔가요?

일반적으로 조기를 해풍에 말려서 반건조 상태가 되면 굴비 또는 영광굴비라는 이름으로 시장에서 판매가 되는데 보리굴비란 이러한 건조된 굴비를 보리에 저장하여 먹는 것을 말합니다.
저장방식을 보면 엣날 냉장고가 없던 시절에 쓰던 방식이나 보리에 저장시키면 굴비 내부의 습기와 기름기를 보리가 대거 흡수하여 건조되며 보리의 향이 굴비에게 침투되어 짠맛도 덜하고 비린내도 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굴비중에서 가장 최상급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조기의 종류

이상의 조기는 참조기를 의미합니다 참조기경우 크기가 클수록 맛도 좋아지지만 크기가 그리 빠르게  성장하지는 않습니다 . 따라서 참조기가 속한 농어목 민어과에 속한 어종들이 조기와 맛과 크기가 비슷하여  시장에 유통되고 있기도 합니다
이 중 가격이 많이 비싼 어종도 있고 저렴하면서 조기의 비슷한 맛을 내는 가성비 있는 어종도 있습니다  이중 몇가지 어종을 살펴보겠습니다


디카운티 명품 보리굴비 초대형 특대 영광 법성포 찐보리굴비 보리 고추장 굴비 자연해풍 맛있는 참조기 부세 5미 10마리 20미 1.6kg 이상 선물용 추석 설 선물 세트 특가

보리굴비 찐보리굴비 보리 고추장 굴비 자연해풍  부세 5미 10마리 20미 1.6kgPrice: 65,100원

 

1) 황순어

민어과 중에 크기가 1~2미터까지 자라며  중국권에서 많이 나타나나 중국의 2급 보호어종으로 입술이 노란 색을 띄고 있어 금전민어라는 이름도 갖고 있습니다.
가격 또한 매우 비싸서 세계자연보호기금 ( WWF) 에서 바다의 10대 보물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2) 민어

민어 또한 큰민어, 홍민어, 민어 등의 여러 종류가 있으며 한국에서도 여름철 보양식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생선회 뿐만 아니라 찜, 탕으로도 많이 애용되고 있습니다

3) 부세

참조기와 매우 비슷하지만 크기가 더 큰 편이고 제주도나 동 중국해에서 월동후 봄에는 우리나라 서해로 진출해 옵니다. 참조기보다 맛은 약간 떨어지지만 양도 많고 가격도 저렴한 편으로 대중들에게 많이 애용되고 있는 품종 입니다.

 

4) 기타 어종

기타 5~6월에  서해와 남해에서 포획되는 수조기, 여름과 가을초입에 마트등에 많이 보이는 백조기, 참조기 새끼들과 함께 황세기 젖갈로 많이 이용하는 민어과 중 가장 작은 개체인 황강달이 등이 포획되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또한 민어과에 속한 어종은 조기 또는 조기의 일종으로 통상 소개하고  있으므로 소비자분들이 큰 혼란 없이 이해하여 상품 구매에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hopping Cart